AI Tools Stable Diffusion
PromptWriter  

xyz plot: img2img 변환 시 CFG Scale, Denoising strength 적정값 빨리찾는 법

img2img 기능을 사용해서 이미지를 변환하고자 할 때, 내가 원하는 느낌의 이미지를 찾는데는 제법 많은 시간을 들여야 합니다. 가장 큰 원인은 CFG Scale과 Denoising strength 의 값에 따라 생성된 AI이미지가 큰 변화를 보이기 때문인데요. 이번 포스팅에서 이 두 가지 옵션의 적정값을 보다 빨리 찾을 수 있는 방법을 소개해 드리고자 합니다.

CFG Scale과 Denoising strength

본 내용에 들어가기 앞서 두 옵션에 대한 정의부터 간단히 알아보고 갑시다.

CFG Scale

입력된 프롬프트에 얼마나 맞춰진 이미지를 것인지를 만들 것인지 조절하는 옵션입니다. CFG Scale 값이 높을수록 입력된 프롬프트에 맞는 이미지를 생성하고, 값이 작을수록 프롬프트와 상관없는 이미지가 만들어집니다. 하지만 너무 큰 값을 줄 경우 완전히 엉뚱한 이미지가 생성되기도 합니다. img2img에서 텍스트 프롬프트를 추가로 입력하는 경우 사용하며, 텍스트 프롬프트를 추가로 입력하지 않을 경우에는 상대적으로 영향이 적은 편입니다. 보통 5~10 사이 값을 많이 사용합니다.

CFG Scale

Denoising strength

원본 이미지와 비교하여 얼마나 많은 변화를 줄 것인지 결정하는 옵션입니다. 0에 가까울수록 원본과 유사한 이미지를 만들어내고, 값이 커질수록 원본과 전혀 다른 이미지가 생성됩니다. img2img로 생성되는 이미지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옵션입니다. 보통 0.2~0.6 사이의 값을 사용합니다.

xyz plot 사용 방법

스테이블 디퓨전에서 기본으로 제공하는 기능으로 CFG Scale과 Denoising strength 적정값을 찾기 위해서 가장 많이 사용하는 스크립트입니다. 다음과 같은 순서로 진행합니다.

1) 스크립트 클릭

2) xyz plot 선택

3) xyz plot 세팅 설정

X Type : CFG Scale 선택 / value : 4-10(+2) 입력
Y Type : Denoising 선택 / value : 0.0-0.9(+0.3) 입력
value는 본인 입맛에 맞게 임의로 조정해서 사용하시면 됩니다. * 예: 5-15(+3), 0.2-0.5(+0.05) 등

4) 생성 후 결과 확인

주의사항

참고 : 생성된 이미지 하단의 텍스트를 보면 seed 값도 같이 표시되므로 xyz plot 으로 생성한 이미지가 마음에 들 경우 해당 seed 값을 그대로 사용하면 됩니다.

5) 적절한 값 확인 후 img2img 설정에 사용

위와 같이 xyz plot 을 사용하시면 보다 쉽게 원하는 이미지를 찾을 수 있게 됩니다. 혹시 사용 과정에서 궁금한 점 있으시면 댓글을 남겨주세요. 제가 아는 부분까지는 답변 드릴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같이보면 좋은글

Leave A Comment